[Java] 접근 제어 지정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는 클래스의 멤버에 대한 접근을 제어함으로써 객체를 잘못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의 값이 적절하지 못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바의 접근 제어 지정자 멤버 접근 제어는 public, private, protected 이 3가지의 지정자로 이루어 진다. 접근 가능 여부는 아래 표로 요약된다. 접근지정자 클래스 패키지 자식 클래스 전체 세계 public O O O O … 더 읽기

Git 파일 무시하기(git ignore)

  Git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 어떤 파일은 Git이 관리할 필요가 없다. 보통 로그 파일이나 빌드 시스템이 자동으로 생성한 파일이 그렇다. 그런 파일을 무시하려면 .gitignore 파일을 만들고 그 안에 무시할 파일 패턴을 적는다. 파일 무시하기 .gitignore 파일은 보통 처음에 만들어 두는 것이 편리하다. 그래서 Git 저장소에 커밋하고 싶지 않은 파일을 실수로 커밋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 더 읽기

phpmyadmin 대용량 sql 파일 입력

서버에서 Database 를 백업한 후 phpmyadmin 으로 백업을 복원하려 하는 경우 sql 파일의 용량이 크다면 생각대로 백업 동작이 되지 않는다. 이럴 경우 터미널에서 mysql 을 실행한 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sql 파일을 입력(import) 할 수 있다. 윈도우나 mac, 우분투의 경우 각각 cmd나  터미널과 같은 콘솔에서  mysql 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방법은 각각 다르겠으나, 일단 설치 … 더 읽기

VI 에디터

1. vi란 리눅스나 유닉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vi는 매우 골치아픈 존재이다. 도스나 윈도우에서 문서 편집기를 써 본 사람에게는 vi는 매우 불편한 편집기로 생각될 것이다. 그러나 내가 아는 한 vi만큼 가볍고 편하게 쓸 수 있는 편집기는 지구상에는 없다! ‘가볍고’라는 단어를 붙인 이유는 이맥스(emacs)라는 편집기를 쓰는 사람이 항의할 것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이맥스는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부터 가장 똑똑한 … 더 읽기

Git 기본 설정(git config)

Git을 설치하면 가장 처음 할 일은 사용환경을 설정해야 한다. git config 도구로 설정 내용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다.  Git은 이 설정에 따라 동작하게 되는데, 애 때 사용하는 설정 파일은 다음 세 가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설정하면 된다.

 

  1.  /etc/gitconfig 파일 :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와 모든 저장소에 적용되는 설정이다. git config –system옵션으로 이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다.
  2.  ~/.gitconfig, ~/.config/git/config 파일 : 특정 사용자에게만 적용되는 설정이다. git config –global옵션으로 이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다.
  3.  .git/config 파일 : Git 디렉토리에 있고 특정 저장소(혹은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에만 적용된다.

 

1. 환경 설정 – 현재 설정된 목록 출력해 보기

$ git config --list

 또는,

$ git config -l

현재 설정 되어 있는 목록들이 아래 형식으로 출력된다.

2. 사용자 정보 추가

(1) git 을 사용하기 위한 이름과 이메일 정보를 등록한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

(2) 칼라 설정 터미널에서 git을 이용해서 status, diff 등을 입력 했을 때 같은 색상의 밋밋한 텍스트가 출력되어 알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아래의 설정을 적용하면 주요 메세지에 색상이 사용되면서 보기 편해진다.

$ git config --global color.status auto
$ git config --global color.diff auto

 

3. 인증하기

(1) 로컬 PC에서 SSH-Key 생성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RSA로 된 공개키가 필요한데, RSA 공개키는 ssh 공개키로 인증하는 방법과 같으며 ssh-keygen 을 이용하여 공개키를 생성한다. ssh 의 공개키가 ~/.ssh 폴더 밑에 생성된다.

$ ssh-keygen -t rsa

(2) 위 화면에서 특별한 경로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 엔터를 입력하며, 완료 후에 생성된 공개키를 확인 하려면 다음 명령을 입력한다.

$ cat ~/.ssh/id_rsa.pub

github.com –> ssh 등록

 

4. 등록하기

(1) clone github.com 에 있는 repository 를 가져오는 경우 아래의 명령을 실행한다.

$ git clone {ssh 주소}

  

(2) 폴더 만들고 등록하기 클라이언트에서 만든 폴더를 github.com 에 등록하는 경우 github.com 에 새 repository 를 만든 후 아래의 명령을 실행하여 폴더의 내용을 등록한다.

$ git remote add {ssh 주소}
$ git pull origin master
$ git push origin master

 

 

Ubuntu 패키지 관련 명령

1. 저장소 업데이트 저장소를 업데이트 합니다.   2. 저장소의 패키지 설치 저장소에서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3. 패키지 업그레이드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검사해서 최신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합니다. 4. 패키지 삭제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지웁니다. 패키지를 지우더라도 설정파일은 지우지 않습니다. 설정파일까지 모두 지우고 싶다면    5. 패키지 재 설치 실수로 패키지 구성파일의 일부를 삭제 했다거나 설정파일을 잘 못 건드려서 사용할 수 없게될 … 더 읽기

Sublime Text 3 기본설정 및 패키지확장

1. 패키지 컨트롤 설치 콘솔을 열고 (ctrl+`) 다음 구문을 복사하고 붙여 넣는다.Sublime Text 2 sublime text 2 를 닫고 다시 연다. Sublime Text 3 sublime text 3 를 닫고 다시 연다.    2. 추천 패키지 설치 커맨드 팔레트 (ctrl + shift + p) 를 열고, 패키지 컨트롤 인스톨을 실행 (입력창에 p c i 입력) 하고 … 더 읽기

msys – 윈도우에서 Git 사용하기

윈도우에서 Git 사용하기 http://git-scm.com/ 에서 윈도우용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MSYS 한글설정 하기 1. Git이 설치되어 있는 폴더를 열고 Git/etc/inputrc 파일을 열어서 다음 설정 부분을 찾아서 변경한다.   2. ls 의 한글표시 및 색상 설정 Git/etc/profile 파일을 열고 맨 마지막에 라고 추가한다.  

그룹 컨텐츠 요소

<p> : 문단, p 요소 보다 더 적합한 요소가 있을 때에는 해당 요소를 사용함 <blockquote> : 다른 소스로부터 가져온 인용 섹션. 인용된 소스의 URL 주소가 있다면 cite 속성으로 표시 <pre> : 형식화된 텍스트 블록을 표현 <hr> : 문단 레벨에서 주제의 분리, 마침 요소 없이 단독으로 사용 목록 – 순서가 있는 목록 : 순서가 바뀌면 의미가 바뀌는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