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에서 cert-manager로 무료 letsencrypt 인증서 발급 설정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ingress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없다면 설치하고 설치한 ingress 컨트롤러 타입을 기억한다. 1. cert-manager 설치하기 2. cluster-issuer 생성하기 아래 yaml 파일에서 이메일 주소(spec.acme.email)와 ingress 타입(spec.acme.solvers.selector[0].http01.ingrss.class)을 확인하고 nginx 또는 traefik 등 자신이 사용할 ingress 타입을 기입한다. cluster issuer 생성 및 생성 여부 확인 3. 인증서를 사용할 web 및 ingress 배포 4. 브라우저로 접속 확인

Ubunut 22.04 서버에 NFS (kubernetes volume)설치하기

클러스터 내 Pod 끼리 디스크를 공유야 하는 경우 사용되는 Persistent Volume 유형 중 NFS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자. 1. NFS 서버 설치 NFS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서버를 설치해야 한다. 보통 별도 서버에 구축하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편의상 클러스터 내 노드에 설치해 본다. 참고로 별도 서버에 구축하는 경우도 아래의 방법과 같다. 먼저 클러스터 노드와 각 노드의 아이피가 … 더 읽기

Ubuntu 20.04 서버에 K3s 클러스터 구성하기

1. 서버 생성 후 root 계정으로 처음 접속 후 비밀번호 변경 2. 호스트 이름 확인 및 변경 3. 사용자 계정 생성 4. root 계정 접속 해제 후 kube 사용자로 다시 접속한 후 서버 패키지 업데이트 5. 방화벽 설정 iptables 설정을 변경했다면 netfilter-persistent save 명령어로 저장하고, 나중에 netfilter-persistent reload 명령어로 다시 설정을 불러올 수 있다. sudo netfilter-persistent savesudo netfilter-persistent reload … 더 읽기

[Vue.js] 뷰 컴포넌트

컴포넌트란? 컴포넌트(Component)란 조합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블록을 의미한다. 컴포넌트를 활용하면 화면을 빠르게 구조화하여 일괄적인 패턴으로 개발 할 수 있으며, 코드를 쉽게 이해하고 재사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 등록하기 컴포넌트를 등록하는 방법은 전역(Global)과 지역(Local)의 두 가지가 있다. 지역 컴포넌트는 특정 인스턴스에서만 유효하고, 전역 컴포넌트는 모든 범위의 여러 인스턴스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역 컴포넌트 등록 전역컴포넌트는 … 더 읽기

[Vue.js] 뷰 인스턴스

뷰 인스턴스의 정의와 속성 뷰 인스턴스(Instance)는 뷰로 화면을 개발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생성해야 하는 기본 단위이다. 뷰 인스턴스 생성 뷰 인스턴스를 사용하기 위해 위 코드와 같은 형식으로 뷰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아래 예제 코드에서 인스턴스와 관계된 부분을 다시 한 번 살펴보자. 먼저 ‘Hello Vue.js!’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new Vue()로 뷰 인스턴스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인스턴스 안에 el속성으로 … 더 읽기

[Vue.js] 뷰 템플릿

뷰 템플릿이란? 뷰의 템플릿(Template)은 HTML, CSS 등의 마크업 속성과 뷰 인스턴스에서 정의한 데이터 및 로직들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의 HTML로 변환해 주는 속성이다. 템플릿 속성을 사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로, 첫 번째는 ES5에서 뷰 인스턴스의 template 속성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template: <p>Hello {{ message }}</p>와 같은 코드가 템플릿을 의미한다. 여기서 템플릿 속성에 … 더 읽기

터미널에서 zsh 와 oh-my-zsh 사용하기

zsh 와 zsh-completions 설치하기 mac에서 설치 ubuntu에서 설치 oh-my-zsh 설치 [mac / ubuntu 공통] 테마 변경하기 oh-my-zsh의 기본 테마인 robbyrussell도 깔끔하지만, 이 외에 다양한 테마가 존재한다. 테마를 바꾸는 방법은 ~/.zshrc파일의 ZSH_THEME=”robbyrussell” 부분을 원하는 테마로 수정하면 된다. random으로 설정한 후 source ~/.zshrc 을 입력할때마다 새로운 테마로 새로고침 된다. 마음에 드는 테마를 확인한 후 해당 테마를 적용한다. 단축명령어 확인하고 활용하기 alias를 입력하면 … 더 읽기

vi 명령어 모음(요약)

1. 글 입력하기 a 커서 위치의 다음 칸부터부터 끼워넣기(append) A 커서가 있는 줄의 끝에서부터 끼워넣기 i 커서 위치부터 끼워넣기(insert) I 커서가 있는 줄의 맨 앞에서부터 끼워넣기 o 커서 바로 아래에 줄을 만들고 끼워넣기(open line) O 커서 바로 위에 줄을 만들고 끼워넣기 2. 커서 이동하기 h 한칸 왼쪽으로 이동 l 한칸 오른쪽으로 이동 j 한줄 아래로 … 더 읽기

[PHP] 변수의 값을 문자열에 끼워 넣기

위 구문에서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의 차이를 주목해 보자. 큰 따옴표만 문자열 끼워 넣기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용법은 모범 사례가 아니다. 아래 예제가 올바른 문법이다. 먼저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는 경우, 따옴표 밖에 있는 점(.) 즉 PHP 의 문자열 결합 연산자를 통해서만 문자열과 변수를 결합할 수 있다. 큰 따옴표를 쓰는 경우에는 PHP 문자열 결합 … 더 읽기

[Laravel] 블레이드(blade) 정리

블레이드(blade)는 라라벨의 템플릿 언어인 동시에 HTML 컴파일 엔진이다. 실제로 모든 블레이드 뷰는 단순한 PHP 코드로 컴파일되고 변경되기 전까지 캐시 되는데, 이는 블레이드가 애플리케이션에 아무런 부담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블레이드 뷰 파일은 .blade.php 형식의 파일 확장자를 사용하고 주로 resources/views 폴더 아래에 저장된다. 변수를 이용한 문자열 보간 블레이드 문자열 보간 문법을 사용한 예제를 살펴보자 블레이드는 문자열 … 더 읽기